25. 05. 03. 오후 01:00

영화와 TV 대화

Listening

내용

영화와 TV 시리즈는 실제 미국인들의 일상적인 대화를 반영하면서도, 보다 드라마틱하고 응축된 표현들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매체에 나오는 대화는 속어, 구어체 표현, 문화적 레퍼런스 등이 풍부하여 자연스러운 영어 학습에 좋은 자료가 됩니다. 영화와 TV에서는 캐릭터의 성격, 사회적 배경, 관계 등에 따라 다양한 말투와 표현이 사용됩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유머, 갈등, 감정 표현, 설득, 협상 등 다양한 의사소통 목적을 위한 표현들이 나타납니다. 아래 예문들을 통해 영화와 TV 시리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복잡하고 자연스러운 대화 표현들을 학습해 보세요. 이 표현들은 원어민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표현들을 바탕으로 하되, 미디어에서 볼 수 있는 보다 극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문

예문 1
I've been going over and over this in my head, and I keep coming back to the same conclusion - sometimes doing the right thing means making incredibly difficult choices that no one else understands at the time, but you have to live with yourself when all is said and done.
계속해서 이것을 머릿속으로 곰곰이 생각해 봤는데, 같은 결론에 계속 돌아오게 됩니다 - 때로는 옳은 일을 한다는 것은 당시에는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믿을 수 없이 어려운 선택을 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모든 일이 끝났을 때 자신과 함께 살아가야 합니다. 문장 구조 분석: 1. 주절 첫 부분: "I've been going over and over this in my head" (계속해서 이것을 머릿속으로 곰곰이 생각해 봤는데) - 'going over and over': 반복적으로 생각하다, 검토하다 2. 병렬 주절: "and I keep coming back to the same conclusion" (같은 결론에 계속 돌아오게 됩니다) - 'keep coming back to': 계속 돌아오다, 반복해서 생각하게 되다 3. 동격표현: "sometimes doing the right thing means making incredibly difficult choices" (때로는 옳은 일을 한다는 것은 믿을 수 없이 어려운 선택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관계절: "that no one else understands at the time" (당시에는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5. 병렬절: "but you have to live with yourself when all is said and done" (모든 일이 끝났을 때 자신과 함께 살아가야 합니다) - 'live with yourself': 자신의 결정에 떳떳하게 살다 - 'when all is said and done': 모든 일이 끝났을 때, 결국에는 이 문장은 영화나 TV 시리즈에서 캐릭터가 중요한 결정이나 도덕적 딜레마에 대해 성찰하는 독백이나 대화의 일부로 볼 수 있는 표현입니다. 내적 갈등과 원칙에 따른 결정의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리스닝 포인트: - 'I've been going over'의 축약형 발음('I've')을 구분하세요. - 'going over and over'의 연결 발음과 반복을 인식하세요. - 'keep coming back to'의 연결 발음을 주의 깊게 들으세요. - 'incredibly difficult choices'의 발음과 강세를 구분하세요. - 'all is said and done'의 관용적 표현의 발음을 인식하세요. 어휘 설명: - go over: 검토하다, 생각해보다 - keep coming back to: 계속 돌아오다, 반복해서 생각하게 되다 - the right thing: 옳은 일, 올바른 행동 - incredibly: 믿을 수 없이, 매우 - at the time: 당시에, 그 시점에 - live with yourself: 자신의 결정에 떳떳하게 살다 - when all is said and done: 결국에는, 모든 일이 끝났을 때
예문 2
Look, I get that you're going through a lot right now, and the last thing I want to do is add to that burden, but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r reluctance to face what's happening isn't just affecting you anymore – it's starting to impact everyone who cares about you, and we're all walking on eggshells trying not to set you off.
지금 당신이 많은 일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제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그 부담을 더하는 것이지만, 당신이 일어나고 있는 일을 직면하기를 꺼리는 것이 더 이상 당신에게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점이 오게 됩니다 – 그것은 당신을 신경 쓰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으며, 우리 모두는 당신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조심조심 걷고 있습니다. 문장 구조 분석: 1. 도입어: "Look" (보세요, 이봐요) 2. 주절 첫 부분: "I get that you're going through a lot right now" (당신이 지금 많은 일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 'get that': 이해하다, 알다 - 'going through a lot': 많은 일을 겪다, 힘든 시간을 보내다 3. 병렬절: "and the last thing I want to do is add to that burden" (제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그 부담을 더하는 것입니다) - 'the last thing I want': 내가 가장 원치 않는 것 4. 대조절: "but there comes a point where your reluctance to face what's happening isn't just affecting you anymore" (하지만 당신이 일어나고 있는 일을 직면하기를 꺼리는 것이 더 이상 당신에게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점이 오게 됩니다) - 'there comes a point where': ~한 시점이 오다 - 'reluctance to face': 직면하기를 꺼림 5. 부가설명: "it's starting to impact everyone who cares about you" (그것은 당신을 신경 쓰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6. 병렬절: "and we're all walking on eggshells trying not to set you off" (우리 모두는 당신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조심조심 걷고 있습니다) - 'walking on eggshells': 매우 조심하다, 신중하게 행동하다 - 'set you off': 자극하다, 화나게 하다 이 문장은 영화나 TV 시리즈에서 친구, 가족, 또는 연인 사이의 진지한 대화 장면에서 볼 수 있는 표현입니다. 상대방에 대한 걱정과 배려를 표현하면서도, 그들의 행동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지적하는 복잡한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리스닝 포인트: - 'I get that you're going through'의 연결 발음을 주의 깊게 들으세요. - 'the last thing I want to do'의 강세와 발음을 인식하세요. - 'there comes a point'의 연결 발음을 구분하세요. - 'isn't just affecting you anymore'에서 'isn't just'의 축약형과 연결 발음을 주의하세요. - 'walking on eggshells'의 관용적 표현의 발음을 인식하세요. - 'trying not to set you off'의 빠른 발화 속도를 주의해서 들으세요. 어휘 설명: - going through a lot: 많은 일을 겪다, 힘든 시간을 보내다 - the last thing: 가장 원치 않는 것 - add to that burden: 그 부담을 더하다 - there comes a point: 어떤 시점이 오다 - reluctance: 꺼림, 망설임 - affect: 영향을 미치다 - impact: 영향을 주다 - care about: ~을 신경 쓰다, 걱정하다 - walk on eggshells: 매우 조심하다, 신중하게 행동하다 - set someone off: 누군가를 자극하다, 화나게 하다
예문 3
You can't possibly expect me to believe that this is all some massive coincidence – that you just happened to be in the exact same location where the documents went missing, that your phone mysteriously died right when I was trying to reach you, and that you have absolutely no recollection of seeing anyone suspicious during those three critical hours.
이 모든 것이 어떤 거대한 우연의 일치라고 내가 믿을 것이라고 당신은 도저히 기대할 수 없어요 – 당신이 우연히 서류가 사라진 바로 그 장소에 있었고, 내가 당신에게 연락하려고 했을 때 당신의 휴대폰이 미스터리하게 꺼졌으며, 그 중요한 세 시간 동안 의심스러운 사람을 보았다는 기억이 전혀 없다니요. 문장 구조 분석: 1. 주절: "You can't possibly expect me to believe that this is all some massive coincidence" (이 모든 것이 어떤 거대한 우연의 일치라고 내가 믿을 것이라고 당신은 도저히 기대할 수 없어요) - 'can't possibly expect': 도저히 기대할 수 없다 2. 동격절(설명): "that you just happened to be in the exact same location where the documents went missing" (당신이 우연히 서류가 사라진 바로 그 장소에 있었다는) - 'happened to be': 우연히 ~였다/있었다 - 'where the documents went missing': 서류가 사라진 곳 3. 병렬 동격절: "that your phone mysteriously died right when I was trying to reach you" (내가 당신에게 연락하려고 했을 때 당신의 휴대폰이 미스터리하게 꺼졌다는) - 'mysteriously died': 미스터리하게 꺼졌다/죽었다 - 'right when': 바로 그때 4. 병렬 동격절: "and that you have absolutely no recollection of seeing anyone suspicious during those three critical hours" (그 중요한 세 시간 동안 의심스러운 사람을 보았다는 기억이 전혀 없다는) - 'absolutely no recollection': 전혀 기억이 없다 - 'critical hours': 중요한/결정적인 시간 이 문장은 영화나 TV 시리즈의 범죄 드라마나 스릴러에서 볼 수 있는 대화 장면입니다. 의심과 불신을 강하게 표현하면서, 상대방의 말을 믿지 않는 이유를 나열하고 있습니다. 리스닝 포인트: - 'You can't possibly expect me'의 강세와 발음을 주의 깊게 들으세요. - 'massive coincidence'의 연결 발음을 구분하세요. - 'just happened to be'의 발음과 강세를 인식하세요. - 'mysteriously died right when'의 연결 발음을 주의해서 들으세요. - 'absolutely no recollection'의 발음과 강세를 구분하세요. - 'critical hours'의 연결 발음을 인식하세요. 어휘 설명: - possibly: 아마도, 어쩌면 - massive coincidence: 거대한 우연의 일치 - happen to be: 우연히 ~이다/있다 - exact same location: 정확히 동일한 위치 - documents went missing: 서류가 사라졌다 - mysteriously: 신비롭게, 미스터리하게 - died (phone): (휴대폰이) 꺼졌다, 배터리가 방전됐다 - reach: 연락하다, 도달하다 - absolutely no recollection: 전혀 기억이 없다 - suspicious: 의심스러운 - critical hours: 중요한/결정적인 시간
아바타
영어로 프리토킹
20대 여성 서울특별시 - 강남구
하염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짐톡 앱을 다운로드하세요.